방광암(C67.9), 일반암진단금 전액 수령 사례 – 방광의 종양 절제 수술 후 조직검사한 결과 암조직으로 판정, 침윤성 진행이 거의 없는 상태로 확인 – 약 2주간 분쟁 후 일반암진단비 전액 수령 받아 드렸습니다. ※초기 방광암 사례는 보험사와의 분쟁이 빈번히 발생하는 사례입니다. 침윤 여부가 쟁점이며 대부분의 보험사는 주치의가 방광암(C67)으로 진단하...
갑상선 림프절전이암(C770), 일반암진단비 수령 사례 – 갑상선 및 인접 림프절 절제술 후 조직검사결과 갑상선암(C73)과 머리, 얼굴 및 목의 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(C73)로 진단. – 보험사에 청구하자 소액암으로 지급 – 당사 의뢰 후 약 2개월간 분쟁 끝에 일반암진단비 차액 추가 수령 해 드렸습니다. ※ 보험사에 개인적으로 먼저 ...
난소의 행동양식 불명 및 미상의 신생물(D3919), 일반암진단비 3건 수령 사례 – 난소종양으로 양측 난소절제술 시행 후 종양에 대한 조직검사한 결과 장액성 난소 경계성종양으로 판정, 주치의는 난소의 경계성종양(소액암)에 해당하는 D39.19로 진단 – 약 2개월만에 2개의 손해보험사(화재보험사)와 1개의 생명보험회사로 부터 각각 일반암진단비 전액 수령 ...
피부암(C44), 일반암진단비 전액 수령사례 – 새끼발가락에 발생한 피부병변 제거 후 조직검사를 한 결과 편평세포암 타입의 피부암으로 확정진단 – 1999년도 OO생명 상품에 가입하였고 해당 약관상 피부암은 암에서 제외되어 있다는 취지의 문구 확인하였으나 분쟁 가능성있다는 당사의 광고를 보고 개인적 청구 전에 당사로 의뢰함 – 당사 진행 약 3개월만에 일반...
림프절전이암(C770), 일반암보험금 수령 사례 – 갑상선에서 전이된 림프절전이암으로 주치의는 “머리, 얼굴 및 목의 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신생물(C77.0)”로 전이암에 대한 코드를 부여함 – 당사 의뢰, 약관 부실 및 설명의무 위반으로 보험사와 약 2개월에 걸친 분쟁 후 일반암보험금 전액 수령 받음 ※ 분쟁 대리가 가능한 당사 의뢰시...
위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(D37.1), 일반암 수령사례 – 위 종양이 발견되어 복강경을 통한 쐐기 절제술 후 조직검사상 약 2CM 크기의 위장관기질종양(GIST,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)으로 판독 – 주치의는 암이 아닌 경계성종양이라는 뜻의 “D37.1” 질병코드를 부여한 진단서를 발급함 – 환자분은 해...
난소의 행동양식불명 및 미상의 신생물(D39.11), 일반암진단비 수령사례 – 난소종양으로 난소, 자궁 등 절제술 후 종양에 대한 조직검사결과 장액성 경계형종양으로 판독 – 주치의는 일반암이 아닌 경계성종양이라는 뜻의 “D39.10” 및 “D39.11”로 진단 – 당사 의뢰하여 일반암보험금 수령[총4개 보험사, 2개월 소요] ※ 주치의 진단이 D코드라도 적...
Mucosa-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(C88.4), 암보험금 수령 사례 – 위 말트림프종으로 추정되어 위 조직검사 시행하였으나 병리적으로 확진이 아닌 추정 진단됨 – 비록 조직검사결과가 확진 판독은 아니지만 주치의는 환자의 예후, 각종 검사결과 등 종합하여 위 말트림프종으로 확진하에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를 진행...
– 충수에 발생한 종양에 대해 복강경을 통한 충수부분절제술 후 제거된 종양의 조직검사상 점액성 종양으로 판독 – 주치의는 일반암도 소액암도 아니라는 뜻의 “D12.1”의 양성종양으로 진단 (양성종양은 진단비 대상이 아닙니다) – 환자분은 해당 종양에 대해 검색해보던 중 당사에 의뢰하게 됨 – 비록 주치의 진단은 소액암진단비에도 해당이 안되는 양성종양이었...
– 혈액검사, 골수조직검사, 유전자 검사 등 시행한 결과 골수이형성증(MDS)로 확진 – 수치상 고위험군에 속하여 항암치료 및 동종조혈모세포이식수술 시행 예정 – 해당 사례에 대해 보험회사에서는 일반암으론 인정해도 고액암은 강력히 부정함 – 당사 의뢰, 총 3개의 보험사 가입, 1개 보험사는 약 3개월만에 고액암진단비 수령, 이후 추가 3개월간 분쟁하여...